마늘연구소는 10일 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과 '천연물 기반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공동연구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번 협약은 지역 농·특산물의 기능성 소재화로 고부가가치 창출 및 재배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기 위해 양 기관의 실질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양 기관은 그 동안에도 경남 항노화메디컬 기업지원사업, 항노화바이오 스타기업육성사업 등 정부 지원사업을 공동으로 수행하면서 협력관계를 유지하여 왔는데, 최근 자체 보유하고 있는 공동장비 활용과 소재 산업화를 위한 실질적인 협력 사업을 구체화하면서 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것이다.
주요 내용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GMP) 고시형 원료 생산과 마늘, 시금치의 GACP 단지조성 및 재배 표준화의 연내 공동 추진과 남해군 대표 특산물인 마늘, 시금치, 유자, 단호박 등을 이용한 제과·제빵 및 기능성 건강식품의 상용화 촉진을 위한 협력 강화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전략 품목을 공동 발굴해 글로벌 산업화를 위한 공동연구와 협력 강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박삼준 소장은 "양 기관 간 협력으로 제품 개발에서부터 상용화까지 실질적인 사업화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업과 기업이 동반 성장하는 천연물 기반 그린바이오산업의 상생 발전 모델이 되기 위해 상호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은 농업과 기업의 동반 성장을 위한 사업에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으며, 그 성과로 농림축산식품부의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 조성사업'을 유치하여 연면적 5730 m2 규모의 그린바이오 기업 지원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현재는 '천연물소재 전주기 표준화 허브 구축사업'의 공모를 통해 지역의 대표적인 농·특산물의 산업화 지원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 유치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정영철 원장은 "남해군 대표작물인 마늘을 중심으로 다양한 특화작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남해마늘연구소의 연구결과와 산업화 경험이 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의 인프라 및 글로벌 도약을 위한 전주기 표준화 지원사업이 합쳐진다면 서부경남 바이오기업의 상생발전을 위한 보다 강화된 협력이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농업을 그린바이오산업으로 성장, 육성하기 위해 진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경남 연구기관들의 노력으로 기능성 농산물의 GACP 단지조성 및 재배표준화, 원료생산표준화, 사업화 후속 지원사업 등의 전주기 사업이 수행되고, 그 결과로 바이오 기업의 성장발전 성공모델을 도출해 나감으로써 서부경남의 그린바이오산업 성장은 보다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