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기 초에 다짐했던 일과를 지금까지 하루도 거르지 않고 지속했더라면, 이제 그 일이 어느 정도 습관으로 자리 잡았을 시점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작심삼일(作心三日)을 넘기지 못하고, 보통 3주 정도 지나면서 초심을 잃기가 쉽습니다.
그러나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시간을 잘 활용한다면 다시 처음부터 시작해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지금부터라도 중간고사까지 계획을 세우고 실천을 꾸준히 이어나가면, 새로운 습관을 형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좋은 습관을 들이려면 무엇보다 반복이 중요합니다.
적어도 30일 정도는 꾸준히 반복해야 습관으로 굳어집니다. 예를 들어, 학교가 끝나고 집에 오면 먼저 숙제하는 습관을 들이려면, 귀가 후 30일 동안 숙제하는 일을 반복해야 합니다.
물론 21일이면 습관이 형성된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그 차이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21일은 정신적으로 변화를 느끼는 시점이기 때문에, 이 시점 이후에도 계속해서 실천을 이어가야 비로소 습관이 됩니다.
21일이든 30일이든, 반복을 통해 습관이 자리잡히면 이제는 어떤 일이 있어도 변하지 않도록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합니다.
적어도 12주는 습관을 유지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결국 1학기 정도의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습관을 만들 때 중요한 점은 실패나 중단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실천이 어려울 수 있지만, 그것이 끝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다시 시작하는 것입니다.
실패를 경험했다고 해서 그동안 쌓아온 노력을 부정하거나 포기해선 안 됩니다.
실수에서 배우고, 다시 일어서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렇게 조금씩 개선해 나간다면 자신감을 얻을 수 있고, 이는 더 큰 동기부여로 이어질 것입니다.
결국 성공은 한 번의 대단한 성과가 아니라, 꾸준히 반복된 적은 노력의 집합체입니다.
또한, '루틴(routine)'을 만들어 일정을 규칙적으로 실천하는 것도 중요한 방법입니다.
특정 시간에 특정 일을 하는 습관을 들이면, 불필요한 고민을 줄이고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홍길동이라는 아이가 '책상 앞에 앉아서 공부하려고 하지만, 무엇을 공부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해 책을 여기저기 뒤적이며 시간을 낭비합니다.'
공부는 책상에 앉는 것만으로는 완성되지 않고, 무엇을 해야 할지 계획하고 결정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길동이에게 필요한 것은 책상 앞에 앉으면 무엇을 할지 미리 정해놓는 일입니다.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이러한 루틴을 만들어 꾸준히 실천한다는 점입니다.
루틴이 형성되면, 뚜렷한 계획에 따라 불필요한 고민 없이 바로 실천에 옮길 수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일정한 루틴을 따라 하루를 시작하면, 하루를 더욱 생산적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계획적인 생활이 중요한 하다는 말입니다.
학창 시절은 더욱더 그렇습니다.
또한, 변화는 작은 행동부터 시작하여 반복하는 방식인 '스몰 스텝(Small Step)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습관을 들이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지나치게 큰 변화를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미국 임상심리학자 로버트 마우어(Robert Maurer)는 자신의 저서 《아주 작은 반복의 힘(One Small Step Can Change Your Life)》에서 스몰 스텝 전략의 효과를 강조했습니다.
예를 들어, '줄리는 두 아이를 키우고 우울증을 앓고 있으며, 체중이 많이 나가고 고혈압과 심장병도 있었지만, 바빠서 운동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의사는 그녀에게 하루 30분 운동을 하라고 조언했지만, 이를 실천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의사는 하루에 1분씩 텔레비전 앞에서 걷는 것을 시작하라고 제안했습니다.
줄리는 이 작은 실천을 시작하면서 점차 운동을 하게 되었고, 그 결과 정신적으로도 좋아졌습니다.' 이처럼 작은 실천이 쌓여 점차 큰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학교에서 돌아오면 숙제를 먼저 하는 습관을 들인 후, 이 습관이 안정되면 점차 더 어려운 과제에 도전할 수 있습니다.
한꺼번에 큰 변화를 추구하기보다는 작은 변화를 통해 서서히 개선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습관을 들이기는 쉽지 않지만, 한 번 실패했다고 해서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늘 계획대로 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내일부터 다시 시작하면 됩니다.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한다. 내일부터 다시 시작하면 된다'라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실천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로는 보상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만, 보상이 너무 크면 그것이 목표가 되어 버릴 수 있으므로, 보상은 작고 간단한 것으로 해야 합니다.
아이에게는 물질적인 보상을 적게 주고, 칭찬과 사랑으로 충분히 격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는 엄마가 기뻐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가장 큰 보상입니다.
이런 긍정적(肯定的)인 반응을 통해 아이는 자기 주도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새로운 습관을 들일 때는 지나치게 완벽함을 추구하기보다는,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유연한 자세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로는 예상치 못한 장애물이 있을 수 있지만, 그럴 때마다 다시 시작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작은 성취를 쌓아가면 결국에는 자신이 세운 목표를 이루게 될 것입니다. 습관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자리를 잡고, 그 안에서 성장과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목표를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며 습관을 형성하는 과정 자체가 중요한 경험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부모가 새로운 습관을 들이려고 한다면, 자신들에게 보상을 주는 방법도 필요합니다.
스스로 원하는 물건을 리스트에 적어 두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하나씩 선물하는 방식도 좋습니다.
또한, 스스로를 칭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작은 성취를 인정하고 자랑스러워하는 마음은 습관 형성에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중요한 것은 습관을 꾸준히 이어가며 자신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감도 쌓이고, 목표 달성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결국, 적은 노력의 반복이 큰 변화를 만들어낸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작은 변화라도 꾸준히 실천하면 결국 큰 변화를 이끌 수 있기 때문입니다.
'꾸준히 노력하면 어떤 일이든 해낼 수 있다'는 우공이산(愚公移山)의 고사(故事)처럼….